Plesk에서 생성한 계정이 DNS에 도메인을 등록하는 방법
DNS 및 도메인
작성자

작성일
2025-02-11 07:01
조회
54
Plesk에서 웹사이트를 만들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도메인이 연결되는 것은 아닙니다.
핵심은 도메인 등록 기관(예: GoDaddy, Namecheap, Google Domains 등)에서 내 서버의 IP 주소를 등록하는 것입니다.
1. Plesk 서버의 IP 주소 확인 (SWS 계정에서 가능)
✅ Plesk 서버의 IP 주소는 SWS 계정에서 확인 가능
✅ SWS에 로그인하여 내 계정에서 서버 IP를 확인한 후, 도메인 등록 기관의 A 레코드 설정 시 해당 IP를 입력해야 함
✅ Plesk에서도 IP 확인 가능:
- Dashboard > Hosting & DNS > Hosting Settings and Web Hosting Access
2.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내 서버의 IP 주소 설정
- 도메인을 구매한 사이트(도메인 등록 기관)에 로그인합니다.
- DNS 관리(DNS Settings 또는 Name Servers 메뉴)로 이동합니다.
- 다음과 같은 A 레코드를 추가합니다:
@
(루트 도메인) → SWS 계정에서 확인한 Plesk 서버의 IP 주소 입력www
→ SWS 계정에서 확인한 Plesk 서버의 IP 주소 입력mail
→ SWS 계정에서 확인한 Plesk 서버의 IP 주소 입력 (이메일도 설정하려면)
- 네임서버(NS) 설정
- 반드시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제공한 기본 네임서버를 사용해야 합니다.
- 기본 네임서버(NS)가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, 필요하면 수동으로 설정합니다.
3. Plesk에서 DNS 설정 확인
- Plesk에 로그인
- Dashboard > Hosting & DNS > DNS 메뉴 클릭
- 아래와 같은 A 레코드가 있는지 확인
내도메인.com.
→A
→ SWS 계정에서 확인한 Plesk 서버의 IPwww.내도메인.com.
→CNAME
→내도메인.com.
mail.내도메인.com.
→A
→ SWS 계정에서 확인한 Plesk 서버의 IP
- Plesk에서 제공하는 자체 네임서버(
ns1.내도메인.com
,ns2.내도메인.com
)는 사용하지 않습니다. - Domain is not resolvable 메시지가 표시될 경우,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A 레코드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 사항이 반영될 때까지 기다립니다.
- DNSSEC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, 도메인 등록 기관의 DNS 설정과 일치하도록 조정합니다.
4. Cloudflare를 사용하는 경우 (외부 DNS 활용)
Cloudflare 같은 DNS 서비스를 사용하면 서버 IP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보호할 수 있음.
- Cloudflare에 가입 후 도메인 추가
- Cloudflare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(NS) 주소 확인
-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기존 NS 대신 Cloudflare의 NS 입력
- Cloudflare에서 A 레코드를 SWS 계정에서 확인한 Plesk 서버의 IP로 설정
- Proxy(프록시) 기능 활성화: IP 주소가 외부에 공개되지 않도록 설정 가능
5. DNS 전파 (최대 24시간 소요됨)
DNS 변경 후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기까지 최대 24시간 걸릴 수 있습니다.
도메인 연결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려면:
https://dnschecker.org
에서 A Record 조회ping 내도메인.com
또는nslookup 내도메인.com
명령어 사용
🚀 보안 고려 정리
✅ SWS 계정에서 Plesk 서버의 IP 주소 확인 후 설정 진행
✅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제공한 기본 네임서버(NS) 사용
✅ Cloudflare 같은 DNS 보호 서비스 사용 (서버 IP 숨김 가능)
✅ DNS 변경 후 외부에서 서버 IP가 노출되지 않도록 테스트
✅ SSH, FTP 등 서버 접속을 제한하고 방화벽 설정 강화